쌍용차가 때아닌 노이즈 마케팅 논란에 휩싸였다. 가솔린과 LPG를 혼용하는 '바이퓨얼' 모델에 '하이브리드'라는 표현을 사용해 소비자를 헷갈리게 만들었기 때문이다.
쌍용차는 9일, 토레스 하이브리드 LPG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두 가지 연료를 함께 쓰는 방식으로, 장거리 주행 시 연료비가 저렴한 LPG의 장점은 살리면서 가솔린을 통해 겨울철 시동 불량 등의 단점을 줄일 수 있다는 설명이다.

업계에서는 쌍용차가 차명에 '하이브리드'라 표기한 것은 명백한 잘못이라는 평가다. 환경부가 제정·운용하는 환경친화적 자동차의 요건 등에 관한 규정(제4조1항)에 따르면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내연기관 엔진을 기본으로 반드시 직류 60V를 초과한 구동축전지, 즉 고전압 전기모터를 갖춰야 한다.
그러나 이번에 나온 토레스는 단순하게 가솔린과 LPG를 혼용하는 '바이퓨얼'이다. 현대차그룹이 이미 2011년 기아 모닝과 레이 등에 가솔린+LPG 형태의 바이퓨얼 모델을 출시한 바 있다. 당시에도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시판중이었지만, 하이브리드라는 용어를 쓰지 않았다. 해당 차량의 수출용 모델 역시 하이브리드가 아닌 바이퓨얼이라고 명시했다.
이에 대해 쌍용차 측은 "가솔린과 LPG, 두 가지 연료를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을 들어 '하이브리드'라는 표현을 사용했다"고 밝혔다. 하이브리드가 '서로 다른 성질을 가진 요소가 둘 이상 섞인 혼합체'를 뜻하니, 굳이 따지자면 틀린 말은 아니다. 하지만 '하이브리드=엔진과 전기모터를 함께 사용하는 자동차'라고 통용되는 만큼,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

소비자 역시 냉담한 반응이다. 일부 자동차 커뮤니티에서는 "전기모터가 들어간 하이브리드 차량이 나온줄 알았는데 실망했다", "용어만 믿고 구매한다면 낭패를 볼 수도 있다", "그냥 토레스 바이퓨얼이라고 하지 하이브리드를 넣어서 헷갈리게 만들었다" 등 부정적인 평가가 이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