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 용산 이전, '하늘을 나는 자동차(UAM)' 변수 되나?
  • 박홍준
  • 좋아요 0
  • 승인 2022.03.21 11:56
대통령실 용산 이전, '하늘을 나는 자동차(UAM)' 변수 되나?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진 =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사진 =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재계가 미래 먹거리로 낙점한 도심항공모빌리티(이하 UAM) 사업 조정이 불가피해졌다는 지적이 나온다. 대통령 집무실 이전 때문이다.

지난 20일 윤석열 대통령 당선자는 기자회견을 열고, 대통령실 용산 이전을 공식화했다. 청와대를 국민들에게 개방하고, 국방부 청사에서 집무를 보겠다는 입장이다. 

이에따라 민관 합동으로 추진해온 UAM 사업에 차질이 생길 것으로 예상된다. 국가 핵심 시설이 서울 도심부로 내려오는 만큼, 관련 사업에 대한 조정이 필요하다는게 업계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핵심은 비행금지구역(P-73)이다. 현재의 비행금지구역은 청와대를 중심으로 반경 4.5해리(8.3km)로 설정되어있다. 이 구역이 현재의 국방부 청사를 중심으로 설정되면, 서울 마포구와 성동구 일부, 한강 일대의 비행금지구역 설정은 불가피하다는 지적이다. 당장 김포공항으로 접근하는 항공기의 항로 조정이 불가피해 보인다. 

사진 = 현대차그룹
사진 = 현대차그룹

여객기뿐 아니라 UAM 제반 시설 마련을 위한 재검토도 필요해졌다. 이달 초 서울시가 발표한 2040 서울도시기본계획에 따르면, 시는 용산 국제업무지구 부지 내에 대규모 UAM 터미널을 만들고, 김포공항-용산 구간에서 드론택시 시범운행을 추진할 계획이다. 현대차도 인근에 위치한 원효로 사옥에 UAM 사업부 배치를 결정했지만, 대통령실 용산 이전이 공식화됨에 따라, 관련 계획에 제동이 걸릴 가능성도 높다.
 
정부 주도 하에 2025년 UAM 상용화를 목표로 꾸려진 민관협의체 '팀 코리아'의 실증 테스트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국토교통부, 인천국제공항공사, 현대차, 대한항공, KT 등은 내년 전남 고흥에서 1단계 실증테스트를 진행하고, 2024년 인천·김포공항-코엑스를 잇는 구간에서 비행 테스트를 준비해왔다. 안전상의 이유를 고려해 한강을 따라 비행하는 방식이 유력하게 검토되어왔지만, 용산에 대통령 집무실이 들어설 경우 이 또한 재조정되어야 하는 상황이다. 

당선자 측은 비행금지구역 축소를 논의하겠다는 입장이다. 윤석열 당선자는 이날 기자회견을 통해 "청와대가 이전하더라도 추가적인 규제는 없다"고 강조했고, 인근 사업계획 영향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은 없었다.인수위 관계자는 "현재의 비행금지구역을 기존보다 축소할 계획" 이라며 "오히려 강북지역 비행금지 해제 공역이 넓어지면서 공중 공간 활용능력이 더 충분해질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사진 =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사진 =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업계의 한 관계자는 이와 관련해 "당선인의 의중을 조금 더 지켜봐야겠지만 그동안 추진하던 UAM 사업의 일부 조정은 불가피해보인다"면서도 "목표로 한 상용화 시점이 얼마 남지 않은 만큼 이해당사자간의 협의가 필요해보인다"라고 설명했다. 

이와 별개로 안보 관련 우려도 나온다. 많다. 전직 군 관계자는 "비행금지구역이 축소되면 UAM 등으로 위장한 군사용 드론이 가용될 수 있는 범위도 더 넓어지는 셈"이라며 "결국 남산, 효창공원, 인근 고층빌딩 등에 방공망을 더 촘촘하게 구축하게 될텐데, 시민들에게 또 다른 불편을 초래하지 않을까 우려된다"라고 말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