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기아차가 4일 ‘스마트폰 기반 디지털키’ 개발을 완료하고, 향후 출시될 신차에 순차적으로 적용한다고 밝혔다.

디지털키 기술은 근거리 무선통신(NFC) 및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BLE)을 활용해 기존 자동차 스마트키와 동일한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항상 키를 갖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을 줄여준다.

차량 출입 인증을 위한 NFC 안테나는 운전석과 동승석 외부 도어 핸들에, 시동 인증을 위한 NFC 안테나는 무선 충전기에 각각 탑재된다.

해당 기능은 자동차 소유주를 포함해 최대 4명까지 키를 공유할 수 있다. 공동 사용자는 차량 소유주 인가에 따라 디지털키를 스마트폰 앱에 다운받아 사용할 수 있다. 차량 소유주는 키를 공유할 때 사용 기간 또는 특정 기능만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등 제한적 공유도 가능하다.

디지털키는 탑승자에 따라 아웃사이드미러, 운전석과 운전대 위치, 전방표시장치(HUD) 및 오디오, 비디오, 내비게이션 정보가 자동으로 변경되는 기능도 적용됐다.

발레파킹이나 정비소 등 디지털키를 공유하기 애매한 상황이나 디지털키가 불편한 사용자를 위해 신용카드 크기의 카드키와 기존 스마트키도 따로 제공된다. 일정 속도를 넘어가거나 특정 지역을 벗어나면 알림이 가도록 설정하는 기능도 추가될 예정이다.

이외 BLE로 스마트폰 앱과 차량이 연결되면 수 미터 내에서 차량 시동, 잠금 및 해제, 비상 경보 작동 등 원격 제어도 할 수 있다. 향후에는 자동 주차 기능도 가능할 전망이다.

현대기아차 관계자는 “디지털키 기술은 차량과 스마트폰 연결을 통한 커넥티드 기술의 첫 걸음으로 자동차 이용의 편의성과 다양성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고객의 입장에서 와이파이, 초광대역통신(UWB) 등 다양한 무선 통신 기술은 물론 생체인식 등 다양한 ICT 기술을 적용하기 위해 연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모터그래프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