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주행차 상용화를 위해 서울과 부산 등 대도시 중심의 실증 환경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이 같은 주장은 13일 한국산업연합포럼(KIAF)이 온라인을 통해 주관한 세미나를 통해 나왔다. 개회사를 맡은 KIAF 정만기 회장은 "서울과 부산 등 대도시 전체에 폭넓은 자율주행 실증 테스트 환경을 구축해야 한다"며 "대규모 데이터를 축적하고, 산학협력 등의 AI 기술 인력도 시급히 양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대차 아이오닉5 로보택시
현대차 아이오닉5 로보택시

이를 위해서는 관련 규제 개선이 시급하다는 주장도 덧붙였다. 그는 "국내에서는 자율주행차를 통해 입수되는 영상 정보를 활용할 때 개인정보 보호법에 따라 정보 주체의 사전 동의를 받아야 한다"며 "불특정 다수 보행자에게 동의를 받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것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박형근 포스코경영연구원 수석연구원도 "테슬라는 올해 말이면 누적 50억 마일에 이르는 실도로 상의 오토파일럿 주행을 기록한다"며 "우리에게 남은 큰 과제는 안전한 규제와 육성책을 마련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남양연구소 내부에서 시범 운영중인 현대차 로보셔틀의 모습
남양연구소 내부에서 시범 운영중인 현대차 로보셔틀의 모습

세제 개선과 정책 입안 필요성도 언급했다. 기업의 시설투자액에 대한 세액 공제를 현행 0~2%에서 30% 이상으로 높이는 한편 자율주행 기술을 국가전략 기술 항목에 포함시켜야 한다는 의견이다. 

자율주행 기술 확보에 필요한 AI 전문인력 확보 필요성도 강조됐다. 이날 발표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AI분야 석·박사 학위자가 미국의 3.9% 가량에 불과하며, 관련 논문 발간 수도 중국의 10%에 그친다. 자율주행차 글로벌 시장 규모는 매년 성장을 거듭해 2040년 1071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지원이 시급하다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정만기 회장은 "자율주행차의 핵심 경쟁력은 각종 센서를 통한 대규모 주행 데이터 축적과 이를 분석·판단하는 인공지능(AI)에 달렸다"며 "한국은 각종 규제 등으로 산업 발전이 더딘 데다, AI 분야 등 전문인력 부족에 시달리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모터그래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