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소비자원이 조사 결과 블랙박스 중 68% 가량이 불량인 것으로 나타났다. 아이나비와 파인뷰 등 국산 인기 제품 일부도 포함됐다.
한국소비자원은 11일, 시중에 판매되는 블랙박스 31종에 대해 시험한 결과, 68%에 달하는 21종이 KS 기준 이하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 중에는 국산 인기 블랙박스들도 다수 포함됐다. 팅크웨어의 '아이나비 블랙 클래어2'는 수직 시야가 좁았고, 진동을 가했을 경우 거치대가 파손됐다. 파인디지털의 '파인뷰 프로 풀 HD'는 초당 프레임이 15에 불과했고, '파인뷰 T2 HD+' 모델의 경우는 진동 시 거치대가 파손됐다.
한솔온라인의 'HVD-101'은 KC 마크가 없어 전파법을 위반한 것으로 나타났다. 차량용 블랙박스는 전파법에 따라 제조·수입 시 적합 등록을 받아 KC(국가통합인증) 마크를 부착해야 한다.

중국에서 제조된 제품 13개의 경우 4개는 주차녹화 기능(충격감지, 동작감지 등)이 없거나 작동이 불안정했으며, 나머지 9개 제품은 ‘주차녹화 자동전환’기능이 없어 주차녹화를 하려면 매번 설정을 변경해야 했다.
이번 블랙박스 테스트 항목은 번호판 식별, 수평·수직 시야각, 밝기 적응성 등 '영상 품질 부문'과 메모리 사용량, 초당 저장 화면 수, 녹화 안정성 등 '동영상 저장 성능', 진동 및 충격과 고온 내구성 등 '내환경성', 주차 시 소비전력량, 보유 기능 등이었다.
한국소비자원은 "막연히 풀-HD 블랙박스를 선호하기 보다는 번호판 식별성 등 영상 품질과 동영상 저장 성능 등이 우수한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라며 "주차녹화 기능이 필요한 소비자의 경우 '자동주차 전환' 기능이 있는 제품이 유리하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평가에서 피타소프트 DR380-HD, 코원시스템 AC1·AW1, 팅크웨어 FX500 마하, 아이트로닉스 ITB-100HD SP, 삼보컴퓨터 TGB-F1 등 5개 업체 6개 제품은 영상품질, 동영상 저장 성능, 내환경성 등 주요 품질이 모두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