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이 자리에서 판매 실적을 공개할 수는 없다"

다임러트럭코리아 조규상 대표는 지난 27일 주최한 연례 기자간담회에서 여전히 판매 정보를 공개할 수 없다고 답변했다. 최우선 경영 가치로 '신뢰'를 내세우고 '국내 수입상용차의 리더'를 자처하는 업체가 정작 몇 대나 팔았는지조차 공개하지 않는다니 고개를 갸웃거리게 한다.

▲ 지난 4월 기자간담회를 가진 다임러트럭코리아 조규상 대표.

다임러트럭 뿐 아니라 대다수 수입상용차 업체가 판매 실적을 전혀 공개하지 않는다. 스카니아는 '판매대수과 관련된 어떤 정보도 알려줄 수 없다'는 입장이며, 이베코 역시 판매량 관련 질문에 침묵을 지키고 있다. 이는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를 통해 매달 차량별 판매 대수를 공개하는 국산 상용차 업계와 대조적인 모습이다.

# "담합 지적이 두려워서?"

수입상용차 업계가 판매실적을 공개하지 않는 것은 지난 2013년 공정거래위원회의 '부당 경쟁 행위(담합)' 적발 이후부터다. 당시 공정위는 국산·수입 상용차 7개사의 정보 공유를 담합이라 규정, 적발하고 총 1160억원의 과징금을 부과했다. 공정위는 각사 담당자들이 판매실적과 재고 현황을 공유한 것을 지적했다. 

그러나 결론은 반대였다. 만트럭 등이 항소에 나서 서울고등법원에서 '담합 과징금 부과 취소' 판결이 내려졌기 때문이다. 판매실적 공유는 담합 행위로 보지 않는다는 결론이 난 셈이다. 판결 후 만트럭과 볼보트럭은 연간 총판매실적 일부를 공개하고 나섰지만 다임러트럭이나 스카니아 등은 엉뚱한 핑계로 차일피일 미루고 있다.

▲ 지난 2월 방한한 만트럭버스 세일즈총괄 제론 라가드 수석부사장.

때문에 소비자들 입장에선 마땅한 정보를 얻을 방법이 없다. 국토교통부가 집계한 수입상용차 자료(자동차정책과 담당)도 불완전하다. 브랜드 구분 없이 차종별 등록대수만 공개되기 때문이다. 더구나 덤프트럭 등은 영업용 건설기계류(건설인력기재과 담당)로 분류돼 상용차 자료에서 애초부터 제외된다. 

# '투명하지 않은 수입상용차' 오명 씻어야

최근 수입차 시장은 승용·상용 구분없이 '이전가격(transfer price)'에 대한 의혹이 확산되고 있다(관련기사: 메르세데스-벤츠, '추징금 500억원' 어떡할까). 이전가격을 비롯한 다양한 회피 기법을 통해 국내법상 납세 의무를 회피한다는 의혹이다. 이 때문에 추징금을 받기도 하고, 이에 대한 조정이나 소송의 긴 싸움에 들어간 업체도 있다. 

급속도로 성장하는 수입상용차 시장은 성장세만큼이나 높은 경영 투명성이 요구된다. 정보를 감추고 발전하면 당장은 수월할지 모르지만, 장차 더 큰 장애물을 맞닥뜨릴 가능성이 크다. 벌써 외부에선 '왜곡된 수익 구조'를 의심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진정 소비자와 시장의 신뢰를 얻으려면 판매량을 비롯한 다양한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 

▲ 지난 3월 방한한 볼보그룹 마틴 룬스테드 신임회장.
저작권자 © 모터그래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